티스토리 뷰

Devin

AI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세요 => (Devin에서는) AI 소프트웨어를 채용하세요

 

Open Devin

Devin이 그걸 develp한 코드 제시 => 스스로 발전하는 AI

 

Aider

- Percent of new code written by aider, by relase => 80%가 넘어감(진짜 스스로 자가 발전하는 것)

 

AI의 진화

- 단순한 작업 자동화를 넘어 소프트웨어의 전체 개발 과정을 AI가 주도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

- 25.04.03기준 ChatGPT 출시한지 불과 2년반정도밖에 안됨

 

So, 개발자는 자멸할까? => NO

개발자 역할의 진화

- 개발자는 AI 작업을 지시하고 조율하는 역할

- AI는 개발자의 창의적 역량을 도와줄 것임

 

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

All about 추상화(복잡성의 단순화, 코드 100줄 -> 1줄) + 자동화(반복적인 작업 생략, 100번 할 일을 없앰)

 

클라우드 컴퓨팅 = 하드웨어의 추상화

자동화 예시 = CICD(지속적 통합과 지속적 배포)

 

개발 효율화, 개발 대중화, 개발 자동화 => 개발 속도 가속

 

AI로 구현하는 추상화와 자동화 = 궁극의 추상화 + 자동화

 

 

AI 개발자

- 2024년: AI 코딩 어시스턴트

- 미래: AI 소프트웨어 개발자(End-to-End로 소프트웨어 전테를 작성하고 관리하여 '전통적인'개발 업무를 필요 없게 함)

 

AI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게 되면, 개발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다.(이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함)

 

개발자(Software Developer) = 문제를 프로그램으로 해결하는 사람.

  • 문제 정의
    • 팀 내외부 사람들과 풀어야 할 문제를 정의하고 선택
    • 인문학(기술과 인간 사이의 가교 역할)
    • 협업 능력(단순한 일은 AI가 더 잘할 수 있음)
  • 문제 해결(어떤 기술, 어떤 프로그램, 어떤 방식으로 해결)
    • 어떤 기술을 사용할 지 결정
    • 기초지식(수학 능력, 컴퓨터 과학 지식, 특히 알고리즘과 자료구조), 해결하려는 문제가 어려운 문제일수록 더 필요함
    • 특정 문제가 어디서부터 발생하는가? AI가 만든 해결방안이 정말 올바른가?(평가)
    • 기초지식의 중요성: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< 플랫폼 개발자 < 엔진 개발자
    • 넓은영역의 지식 필요성: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> 플랫폼 개발자 > 엔진 개발자
  • 프로그램 개발(앞으로는, AI가 다 해줄 부분) 

AI 개발이 등장함에 따라,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문제 해결 영역에 넘어올 수 있게 됨

상당히 많은 사람이 개발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음

 

 

---

 

Part2.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?

▶ 주체적인 사고(주체적인 사고를 할 수 없다면 AI와 다를 바가 없다)

- 엄마가, 학교가, 사회가 시키는대로만 해오는 삶 -> 내가 뭘 하고 싶은지 뭘 해야 하는지 스스로 결정하지 못함

- 이런 상황은 AI 시대에 문제를 일으킬 것

 

▶  틀을 깨는 사고

- 현실: 구글 코드의 25%를 AI가 쓰고 있음

- 새로운 시대에는 이전의 상식이 고정관념일 뿐

 

---

호기심과 의심

긍정적으로 얘기하면 호기심, 모든것에 의심

 

기초지식과 무엇을 하고 싶은지

- 다양한 활동을 많이 해보기

- 계속 실패하고 못하더라도, 그 과정을 의도적으로 경험해야 내가 잘하고 좋아하는 것을 찾게 됨

 

생성형 AI도 여러 개를 많이 써보는 것이 중요함

거침없이 여러 개를 실험해보고, 사용해보는 것이 중요함

 

틀을 깨는 사고를 위해선? 욕을 먹으면서 ... 두려워하지 말기 ...

(내 결점을 직면할 줄 아는 용기)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